맨위로가기 타임라인 바로가기

시민 혁명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타임라인 바로가기

1. 개요

시민 혁명은 부르주아지의 성장과 시민 사회 형성을 전제로, 봉건제와 절대주의를 타도하고 개인의 자유와 권리를 옹호하며 자본주의 발전을 이끈 일련의 혁명적 변화를 의미한다. 계몽사상의 영향을 받아 권리장전, 미국 독립 선언, 프랑스 인권 선언 등 자유주의적 가치를 확산시켰으며, 민족주의, 민주주의, 자유주의의 발전을 가져왔다. 마르크스주의와 수정주의 등 다양한 이론으로 해석되며, 1848년 혁명, 러시아 혁명, 신해혁명 등 다양한 형태로 전개되었다. 시민 혁명은 민주주의, 인권 등 보편적 가치를 실현하는 데 기여했으나, 권위주의, 불평등, 차별 등의 과제를 안고 있으며, 오늘날에도 그 의의가 이어진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혁명 이론 - 게바라주의
    게바라주의는 마르크스-레닌주의에 기반한 체 게바라의 포코 이론을 중심으로, 소규모 게릴라 부대가 혁명의 선봉대 역할을 수행하여 대중봉기를 촉발한다는 혁명 전략이다.
  • 혁명 이론 - 블랑키주의
    블랑키주의는 루이 오귀스트 블랑키의 사상에 기반한 혁명 이론으로, 소수 정예 혁명가 집단의 쿠데타를 통해 사회 변혁을 이루려는 엘리트주의적 성격을 띠며 폭력적인 방식과 대중과의 괴리 등으로 비판받는 혁명 이론이다.
  • 정치사 - 숙청
    숙청은 특정 조직이나 지역에서 개인이나 집단을 제거하는 행위로, 좁게는 독재 국가 등에서 반대파 제거를 위한 폭력 행위를, 넓게는 조직 내에서 사회적 지위 박탈, 해고 등의 행위를 포함하며, 주로 체제 유지를 위해 발생한다.
  • 정치사 - 섭정
    섭정은 군주가 직무를 수행할 수 없을 때 그 권한을 대신 행사하는 직책이며, 한국사에서는 대리청정이나 수렴청정으로 불리고 동서양 여러 국가에서 다양한 형태로 나타난다.
  • 역사학 - 역사주의
    역사주의는 19세기 초 독일에서 시작되어 낭만주의와 결합, 다양한 사상에 영향을 미치고 새로운 학문 분야를 탄생시켰으나, 결정론과 전체론 비판 및 신역사주의 등장으로 재해석되는 다의적 개념의 사상이다.
  • 역사학 - 사료
    사료는 역사 연구의 기반 자료로서 1차, 2차, 3차 사료로 나뉘며, 다양한 형태로 존재하고 사료비판을 통해 신뢰성을 검증하며, 객관적 분석과 해석을 통해 연구되고 보존 및 관리가 필요하다.
시민 혁명
지도 정보
개요
유형정치 혁명
특징봉건 귀족 정치에서 자본주의 민주주의로의 급격하고 근본적인 정치 변화
원인 및 배경
사회 변화봉건제 해체 및 부르주아지의 성장
정치적 불만절대왕정과 귀족의 특권에 대한 불만 증가
사상적 영향계몽주의 사상의 확산
주요 특징
정치 체제 변화절대 군주제에서 입헌 군주제 또는 공화제로의 변화
경제 체제 변화봉건 경제에서 자본주의 경제로의 전환
사회 구조 변화귀족 중심 사회에서 시민 사회로의 전환
부르주아지의 역할혁명 주도 및 정치적 영향력 확대
주요 사례
관련 혁명잉글랜드 혁명
대서양 혁명
미국 독립 혁명
브라반트 혁명
리에주 혁명
프랑스 혁명
아이티 혁명
스페인 아메리카 독립 전쟁
세르비아 혁명
그리스 독립 전쟁
1820년대 혁명
1830년대 혁명
7월 혁명
벨기에 혁명
텍사스 혁명
1848년 혁명
이탈리아 국가의 1848년 혁명
프랑스 1848년 혁명
독일의 1848년 혁명
헝가리 혁명 (1848년)
유레카 반란
불가리아 통일
필리핀 혁명
이란
페르시아 입헌 혁명
이란 혁명
청년 튀르크 혁명
멕시코 혁명
중국
신해혁명
중국 공산주의 혁명
문화대혁명
1917-1923년 혁명
러시아 혁명
독일 혁명 (1918년-1919년)
1932년 시암 혁명
스페인 혁명 (1936년)
8월 혁명
과테말라 혁명
헝가리 혁명 (1956년)
쿠바 혁명
르완다 혁명
니카라과 혁명
아르헨티나 혁명
카네이션 혁명
사우르 혁명
국민의 힘 혁명
1989년 혁명
반관료 혁명
벨벳 혁명
루마니아 혁명
노래 혁명
볼리바르 혁명
슬로보단 밀로셰비치 전복
장미 혁명
오렌지 혁명
튤립 혁명
2010년 키르기스스탄 혁명
아랍의 봄
튀니지 혁명
2011년 이집트 혁명
예멘 혁명
유로마이단
제2차 아랍의 봄
수단 혁명
관련 개념
사회 계급부르주아지 귀족 프롤레타리아
정치 사상자유주의 민주주의 공화주의
경제 체제자본주의
이론적 분석
마르크스주의적 관점계급 투쟁과 자본주의 발전의 필연적 단계로 봄
사회학적 관점사회 변동과 권력 구조 변화의 측면에서 분석
평가
긍정적 평가봉건 사회의 잔재를 청산하고 자본주의 발전을 촉진
부정적 평가불평등 심화 및 제국주의 확대에 기여했다는 비판

2. 시민 혁명의 전제

시민 혁명은 경제적, 사회적, 사상적 기반을 바탕으로 발생한다.

마르크스주의적 관점에 따르면, 부르주아 혁명의 과제는 다음과 같다.

과제내용
국가 창설다양한 민족에게 다르게 구성될 수 있는 국가의 창설[17]
국민주권에 기반한 국가 구성법치주의는 국민에 의해 채택되는 헌법에 기초[17]
부르주아 지배가능하다면 민주주의적 공화국 형태[17]
농노제 폐지농노제 폐지 및 자유로운 임금 노동자 형성[17]
원시 자본 축적생산자와 생산 수단의 분리[17]
길드 폐지길드 폐지 및 투자의 자유[17]
생산력 발전사회 혁명에 적합할 때까지 생산력의 자유로운 발전



"시민"에는 봉건·절대주의로부터 해방되어 자립한 개인이라는 의미와 상인·자본가라는 의미가 있기 때문에, 시민 혁명의 정의 또한 이중적인 의미를 갖는다. 즉, 혁명을 일으키기 위한 시민 사회의 형성에는 자본주의의 발달이 불가결하며, 사유재산의 절대를 원칙으로 하는 자본주의 사회의 성립이 필요했던 것이다.

러시아 혁명도 이에 분류되는 경우가 있다. 시민 혁명은 자본주의 사회로부터 사회주의·공산주의 사회의 실현을 목표로 한 프롤레타리아 혁명과는 성격을 달리한다. 1848년 혁명, 파리 코뮌 등은 일반적으로 프롤레타리아 혁명에 분류된다.

부르주아지의 탄생과 시민 사회의 형성은 서로 돕는 요소이며, 둘 다 시민 혁명의 조건으로 여겨진다.

2. 1. 부르주아지의 성장

18세기 후반부터 계급은 물질적 소유보다 교육을 기반으로 자신을 정의하기 시작했으며, 따라서 아동 교육에 큰 중점을 두었다.


부르주아지(Bourgeoisie)는 상공업 발달과 자본 축적을 통해 경제력을 갖춘 계층으로, 봉건적 제약에서 벗어나 정치적 권력을 추구하며 시민 혁명의 주도 세력으로 성장하였다. 부르주아지가 발전하기 위해서는 노동력의 이동, 유통의 자유, 사유재산 등이 인정되어야 했으며, 이는 시민사회의 성장을 전제로 한다.

; 부르주아지의 탄생

개인이 사회의 구성 요소로서 일정한 경제력을 가진 형태로 주체적으로 행동하는 것이 봉건제·절대주의를 뒤엎기 위한 전제가 된다. 따라서 시민혁명에는 혁명의 주체가 되는 부르주아지의 탄생이 전제된다.

; 시민사회의 형성

봉건제·절대주의의 자의적인 지배에서 벗어나 의지를 가진 개인의 자유로운 모임으로서의 사회를 목표로 하려면 시민사회의 성장이 조건이 된다. 개인의 사회적·경제적 자유에 계몽사상이 기여했고, 각지에서 출판 등 미디어의 성장이 보였다. 혁명의 결과, 권리의 장전, 미국 독립 선언, 프랑스 인권 선언 등이 실현되었다.

2. 2. 시민 사회의 형성

봉건적 신분 질서와 절대 왕정의 억압에서 벗어나 자유롭고 평등한 사회를 추구하는 시민 의식이 성장하면서 시민 사회가 형성되었다. 계몽사상은 개인의 사회적·경제적 자유에 기여했고, 각지에서 출판 등 미디어의 성장이 나타났다. 혁명의 결과, 권리장전, 미국 독립 선언, 프랑스 인권 선언 등이 실현되었다.[17]

2. 3. 사상적 기반

계몽사상은 시민 혁명의 중요한 사상적 기반이 되었다. 존 로크, 장 자크 루소 등 계몽 사상가들은 사회 계약설, 천부 인권 사상 등을 통해 시민 혁명의 이론적 토대를 제공했다.[22] 계몽사상은 개인의 사회적·경제적 자유에 기여했고, 각지에서 출판 등 미디어의 성장이 보였다. 혁명의 결과, 권리의 장전, 미국 독립 선언, 프랑스 인권 선언 등이 실현되었다.

3. 시민 혁명의 전개 과정

시민 혁명은 각 국가의 역사적, 사회적 상황에 따라 다양한 방식으로 전개되었다. 후기 중세 시대 피렌체 공화국의 치옴피 봉기, 프랑스의 자케리 봉기,[18] 스페인의 사아구의 부르주아 봉기es[19][20] 등은 부르주아 혁명으로 불리기도 한다.

시민 혁명은 1848년 혁명, 파리 코뮌 등과 같은 프롤레타리아 혁명과는 성격을 달리한다. 시민 혁명은 봉건제 타파, 경제적·정치적 독점 상태를 벗어나 "평등" 실현, 민중 운동 확대 등 다양한 과정을 거쳤지만, 모두 정치적 평등을 목표로 한다는 공통점을 지닌다.

3. 1. 초기 근대 시민 혁명 (하층 부르주아지 주도)

초기 근세 시대에 일어난 부르주아 혁명의 첫 번째 물결은 일반적으로 하층 부르주아지가 절대주의 정부에 맞서 아래로부터 추동한 것이 특징이다.[21]

전경에는 자유의 아들 회원으로 보이는 다섯 명의 남자가 관세청 관리인(로열리스트)을 붙잡고 있고, 한 명은 곤봉을 들고 있습니다. 관리인은 타르와 깃털로 뒤덮였고, 그들은 그의 목구멍에 끓는 뜨거운 차를 붓고 있습니다. 중경에는 교수형 갈고리가 걸린 보스턴 자유의 나무가 있습니다. 배경에는 항구로 차를 던져 버리는 시위대가 있는 상선이 있습니다.
미국 독립 전쟁 중 로열리스트 세관원이 자유의 아들들에 의해 타르와 깃털로 뒤덮임을 당하는 모습

3. 2. 근대 후기 시민 혁명 (고위 부르주아지 주도)

1911년 난징 타핑문 전투, 미야노 토시(T. Miyano)의 그림, 중국 혁명


제2차 부르주아 혁명은 근대 후기에 발생한 혁명으로, 일반적으로 고위 부르주아에 의해 주도되었다는 특징이 있다.[24]

발생 국가혁명시기
그리스그리스 독립 전쟁1821–1829
프랑스7월 혁명1830
프랑스2월 혁명1848
독일1848-1849년 독일 혁명1848-1849
이탈리아1848년 이탈리아 각지의 혁명1848
헝가리1848년 헝가리 혁명1848
이탈리아리스토리멘토1848–1871
독일독일 통일1866–1871
미국미국 남북 전쟁1861–1865
일본일본 혁명1868–1869
필리핀필리핀 혁명1896–1898
러시아1905년 러시아 혁명1905–1907
이란이란 헌정 혁명1905–1911
오스만 제국청년 투르크 혁명1908
중국1911년 중국 혁명1911–1912
멕시코멕시코 혁명1910–1917
러시아2월 혁명1917
/ 중국중국 혁명1925–1953
이란이란 혁명1978–1979


4. 시민 혁명의 결과

시민 혁명은 정치, 경제, 사회, 문화 등 다양한 영역에서 근본적인 변화를 가져왔다. 마르크스주의적 관점에 따르면, 시민 혁명은 다음과 같은 과제를 안고 있었다.

과제내용
국가 창설다양한 민족에게 다르게 구성될 수 있는 국가를 만듦.[17]
국민주권에 기반한 국가 구성법치주의는 국민이 채택하는 헌법에 기초함.[17]
민주주의적 공화국 형태의 부르주아 지배가능하다면 민주주의적 공화국 형태로 부르주아 지배를 확립.[17] 이는 이미 고대에서 폭정의 보완으로 발견됨.
농노제 폐지농노제를 폐지하고 자유로운 임금 노동자를 형성.[17]
원시 자본 축적생산자와 생산 수단을 분리.[17]
길드 폐지길드를 폐지하고 투자의 자유를 보장.[17]
생산력 발전사회 혁명에 적합할 때까지 생산력을 자유롭게 발전시킴.



이러한 과제들은 결과적으로 민족주의, 민주주의, 자유주의의 등장을 가져왔다고 볼 수 있다. 특히, 시민 혁명은 농노제 폐지, 길드 폐지, 투자의 자유 보장 등을 통해 자본주의 발전의 기틀을 마련했다.

4. 1. 민주주의 발전

시민 혁명은 신권설을 배경으로 하는 군주 주권을 타도하고 국민 주권을 수립했다. 즉, 국권을 군주 개인의 사유물처럼 취급하는 것을 철저히 배격함으로써 국내적으로 민주주의가 승리하게 되었다. 찰스 1세루이 16세의 처형은 절대군주의 자의적이고 횡포한 권력 행사에 대한 중대한 경고였다.[32] 그러나 영국과 프랑스에서는 이후 왕정이 복고되면서 국민 주권은 군주 주권과 타협하거나 교체되기도 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주권이 국민에게 있다는 '주권재민' 원칙은 주권이 군주에게 있다는 '주권재군' 원리를 점차 약화시켰고, 마침내 1917-1918년에 로마노프, 합스부르크, 호엔촐레른 3왕조가 붕괴하면서 국민 주권이 결정적인 승리를 거두었다.[32]

하지만 주권을 보유하는 국민의 범위에 대한 문제는 여전히 남아 있었다. 자코뱅당은 국민의 범위를 문자 그대로 전 국민으로 확대했지만, 그 후 2월 혁명에 이르는 60년간의 역사는 국민의 범위가 부르주아지로 축소되었다가 다시 확대되는 과정을 반복했다. 영국, 프랑스, 독일 등의 국가에서도 선거권이 완전히 보통 선거, 평등 선거로 자리잡기까지는 오랜 시간이 필요했다.[32]

4. 2. 자유주의 확산

시민 혁명은 기본적 인권 확보를 통해 자유주의의 기반을 다졌다. 국민주권 원칙을 수립하여 절대군주의 자의적 지배를 막았지만, 주권자인 국민에 의한 새로운 전횡의 위험이 발생했다. 이에 국민은 국민주권과 더불어 기본적 인권을 보장해야 했다. 기본적 인권은 천부불가양의 권리라는 사상과, 대헌장에서 권리장전으로 이어진 영국의 역사적 권리라는 두 가지 흐름이 있었다. 19세기에는 이 두 흐름이 합쳐져 헌법에 국민의 기본권을 규정하는 것이 근대 국가의 필수 조건이 되었다.[32]

시민 혁명은 애덤 스미스의 예정조화론에 입각한 자유방임주의를 통해 자본주의 체제를 확립했다. 이는 생산력 증강에 기여했지만, 사회적 불평등과 계급 대립을 심화시키고 경제력의 횡포로 정치적 권리가 유명무실해지는 결과를 낳았다. 또한, 민족주의와 결탁하여 제국주의로 이어져 후진 지역에 대한 자본 수출과 정치적 지배를 초래했다.[32]

4. 3. 민족주의 대두

시민 혁명은 절대군주 국가 내의 복잡한 장벽을 무너뜨리고 진정한 국민적 통일을 이루게 했다. 절대주의중앙집권화를 촉진했지만, 프랑스 혁명 이전에는 명확한 국경선조차 확정되지 못하고 있었다. 군왕 사이에 영토가 얽히는 일도 많았고, 지방 제도 역시 통일되지 못했다. 또한, 군왕의 혈연관계, 귀족의 국제적 계급성 등으로 인해 '국민'은 여러 갈래로 흩어진 집합체에 불과했다.

이러한 프랑스를 통일된 국가로 변화시킨 것은 프랑스 혁명이었다. 근대 민족주의가 프랑스 혁명에서 비롯되었다고 하는 것은 바로 이 때문이다. 혁명 프랑스의 민족주의는 혁명전쟁과 나폴레옹 전쟁을 통해 전 유럽에 근대 민족주의를 확산시켰다.

그 결과, 국제 정치에서는 배타적인 민족국가(국민국가)가 완성되어 자국의 번영과 영광만을 추구하며, 후진 지역에 식민지나 반식민지를 획득하여 국가적 이기심을 채우게 되었다. 그러나 한편으로는, 당시 유럽에서 세력 균형에 의한 일종의 국제 협조가 이루어지기도 했다. 이를 근대국가체계(modern state system)라고 부르지만, 그 전제는 영국의 압도적인 세력과 식민지·반식민지의 존재였다.

그러나 독일 통일을 계기로 영국의 지배력이 위협받게 되었고, 후진 지역에서 민족주의가 성장하면서 근대국가체계는 흔들리고 세계는 혼란에 빠지게 되었다.[32]

4. 4. 자본주의 발전

시민 혁명은 다음과 같은 과제를 통해 자본주의 발전에 기여했다.

  • 농노제의 폐지와 자유로운 임금 노동자의 형성.[17]
  • 원시 자본 축적 과정에서 생산자와 생산 수단의 분리.
  • 길드의 폐지와 투자의 자유.[17]


이러한 변화는 봉건적 제약을 철폐하고 자유로운 경제 활동을 보장하여, 생산력의 자유로운 발전을 촉진했다.

5. 시민 혁명에 대한 다양한 이론

시민 혁명에 대한 다양한 이론들이 존재한다.

부르주아의 진화가 혁명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는 이론도 있다.[12] 1848년 혁명 당시 독일 부르주아는 정치적 노력을 지휘하려 하지 않고 왕관에 편을 들었다.[13][14] 데이비슨은 그들의 행동을 자본주의적 관계의 후기 발전으로 보았으며, 이를 부르주아의 진화 모델로 사용한다.[15]

좌파 공산주의자들은 종종 20세기 공산주의 국가로 이어진 혁명을 "부르주아 혁명"으로 보기도 한다.[16]

5. 1. 마르크스주의 이론

마르크스주의는 시민 혁명을 봉건제에서 자본주의로 이행하는 과정에서 부르주아지가 주도한 혁명으로 규정하고, 프롤레타리아 혁명의 전 단계로 파악한다.[6][7][8] 멘셰비키러시아 혁명 당시 부르주아지가 주도하는 혁명이 사회를 현대화하고 기본적인 자유를 확립하며 봉건주의를 극복하는 데 필요하고, 이것이 사회주의에 필요한 조건을 마련할 것이라고 주장했다. 이러한 견해는 마르크스-레닌주의 분석에서 두드러진다.[9][10]

배링턴 무어 주니어는 부르주아 혁명을 산업혁명 이전 사회에서 현대 세계로 이어지는 세 가지 경로 중 하나로 규정했는데, 이 경로에서는 자본주의적 생산 방식이 자유 민주주의와 결합된다. 무어는 영국 혁명, 프랑스 혁명, 미국 혁명을 이 경로의 예로 제시했다.

닐 데이비슨은 민주주의의 수립이나 봉건 관계의 종식이 부르주아 혁명의 특징적인 요소가 아니라고 믿으며, 대신 알렉스 칼리니코스의 정의, 즉 "독립적인 자본 축적 중심"을 확립하는 혁명이 부르주아 혁명이라고 주장한다.[11] 찰스 포스트는 이 분석을 "결과주의"로 분류하는데, 이는 부르주아 혁명에 자본주의의 사전 발전이나 부르주아 계급의 행위가 필요하지 않으며, 오직 자본 축적의 발전을 촉진하는 혁명의 결과로만 정의된다는 것이다.

시민혁명은 자본주의 사회로부터 사회주의·공산주의 사회의 실현을 목표로 한 프롤레타리아 혁명과는 성격을 달리한다. 1848년 혁명, 파리 코뮌 등은 일반적으로 프롤레타리아 혁명에 분류된다. 봉건제·절대주의 체제에서 개인의 자유를 추구한 것이 시민혁명이며, 자본주의와 노동자의 대립에서 발생한 혁명은 프로레타리아 혁명으로 불린다.

5. 2. 수정주의 이론

수정주의 역사학자들은 부르주아 혁명이라는 개념 자체에 의문을 제기하며, 시민 혁명의 주체, 성격, 결과에 대한 다양한 해석을 제시한다. 이러한 혁명의 정의는 서유럽 세계의 양식을 전제로 하고 있으며, 신해혁명이나 메이지 유신 등 세계 각지에서 일어난 내전, 정치적 변화, 혁명, 독립 전쟁은 이러한 분류로는 다 설명할 수 없어 현재도 논의의 여지가 남아 있다.[1]

6. 현대적 의의와 과제

시민 혁명의 이념은 오늘날에도 민주주의, 인권, 자유, 평등과 같은 보편적 가치를 실현하기 위한 노력으로 이어지고 있다. 그러나 세계 각지에서는 권위주의, 불평등, 차별, 혐오 등 시민 혁명의 가치를 훼손하는 문제들이 여전히 발생하고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시민들의 적극적인 참여와 연대가 필요하다.

한편, 봉건제와 절대주의 체제에서 개인의 자유를 추구한 것이 시민 혁명이며, 자본주의와 노동자의 대립에서 발생한 혁명은 프롤레타리아 혁명으로 불린다. 독일이나 오스트리아에서 일어난 1848년 혁명은 프롤레타리아 혁명적 색채가 강하고, 러시아 혁명은 자본주의 단계를 거치지 않고 일어난 프롤레타리아 혁명이라고 일컬어진다.

이러한 혁명의 정의는 서유럽 세계의 양식을 전제로 하고 있으며, 신해혁명이나 메이지 유신 등 세계 각지에서 일어난 내전, 정치적 변화, 혁명, 독립 전쟁은 이러한 분류로는 다 설명할 수 없어 현재도 논의의 여지가 남아 있다. 또한, 소위 공산 귀족의 지배에서 벗어난 동유럽 혁명은 시민 혁명과 동등하다고 생각할 수 있지만, 오히려 소비에트 연방으로부터의 독립 혁명이라는 의미가 강하다고도 생각되며, 20여 년이라는 시간 속에서 평가는 아직 확정되지 않았다.

참조

[1] 웹사이트 Bourgeois Revolution https://encyclopedia[...] 2018-11-06
[2] 논문 (Multiple sources - requires further detail) 2014
[3] 서적 How Revolutionary Were the Bourgeois Revolutions? Haymarket Books 2012
[4] 사전 Bourgeois Revolution Macmillan Press 1981
[5] 잡지 Bourgeois Revolution and the US Civil War https://isreview.org[...] Center For Economic Research and Social Change 2012-05
[6] 웹사이트 The Bourgeois Revolution: The Political Birth of Capitalism https://www.marxists[...] 1949
[7] 백과사전 Stagism https://www.marxists[...] 2018-11-06
[8] 웹사이트 Revisiting Lenin's theory of socialist revolution on the 150th anniversary of his birth https://blogs.lse.ac[...] London School of Economics 2020-04-22
[9] 잡지 Grandezza e limiti della rivoluzione borghese in Marx https://www.lacittaf[...] 2023-03-06
[10] 학술지 Sul concetto di rivoluzione borghese https://www.jstor.or[...] 2023-03-06
[11] 학술지 Comment on bourgeois revolutions http://isj.org.uk/co[...] 2013-10-07
[12] 서적 Economy and Society: A Silent Bourgeois Revolution https://academic.oup[...]
[13] 논문 (Multiple sources - requires further detail) 1988
[14] 서적 Economy and Society: The shadow side https://academic.oup[...]
[15] 서적 How Revolutionary Were the Bourgeois Revolutions? Haymarket Books 2012
[16] 학술지 China: The bourgeois Revolution has been accomplished, the proletarian Revolution remains to be made https://www.sinistra[...] 1977-05
[17] 학술지 Democratic revolution, bourgeois revolution, Arab revolution: The political economy of a possible success https://www.cairn-in[...] 2012
[18] 서적 Ongles bleus, jacques et ciompi - les révolutions populaires en Europe aux XIVe et XVe siècles Calmann-Lévy 1970
[19] 서적 Conflictos sociales y estancamiento económico en la España medieval Editorial Ariel 1973
[20] 서적 Historia de España
[21] 서적 The German Peasant War of 1525 Routledge 2022
[22] 논문 (Multiple sources - requires further detail) 2006
[23] 웹사이트 A Marxist History of the World part 49: The French Revolution – Themidor, Directory and Napoleon https://www.counterf[...] 2011-10-24
[24] 서적 Modern History of the Arab Countries 1969
[25] 논문 (Multiple sources - requires further detail) 1973
[26] 웹사이트 A Marxist History of the World part 57: The American Civil War https://www.counterf[...] 2012-01-08
[27] 웹사이트 A Marxist History of the World part 58: The Meiji Restoration https://www.counterf[...] 2012-01-18
[28] 서적 简明中国近代史 Liaoning People's Publishing House 1976
[29] 웹사이트 Istoriya Vsesoyuznoy kommunisticheskoy partii (bol'shevikov). Kratkiy kurs https://history.ru/2[...] 1938
[30] 서적 Fevral'skiy perevorot // Ocherki po istorii Oktyabr'skoy revolyutsii 1927
[31] 서적 Reflections on the Middle East https://www.marxists[...] 1984
[32] 서적 글로벌세계대백과사전
[33] 서적 시민혁명 두산백과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